발로란트 리그 구조 완전 정리 - VCT부터 챔피언스까지

e스포츠의 새로운 중심으로 떠오른 발로란트(VALORANT). 단순한 FPS를 넘어서 이제는 체계적인 국제 e스포츠 리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수많은 팬들이 각 리그의 흐름을 따라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VCT, 마스터스, 챔피언스, 챌린저스 같은 용어가 다소 생소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발로란트 공식 리그 구조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발로란트 리그 구조, 왜 이해해야 할까?

발로란트 e스포츠 구조를 이해하면, 단순히 경기를 시청하는 것을 넘어 각 팀의 순위, 대회 간의 연결 구조, 출전권 부여 방식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로 진출을 꿈꾸는 선수나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려는 크리에이터, 팬덤 활동을 하는 시청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본 지식입니다.

발로란트 e스포츠 리그 구조

VCT(Valorant Champions Tour)는 다음과 같은 4단계 구조로 구성됩니다:

단계 리그 명칭 설명 참가 팀
1단계 챌린저스 (Challengers) 각 지역에서 오픈 예선과 리그로 구성된 하위 프로 리그 오픈 참가 가능 (8~12개 팀)
2단계 인터내셔널 리그 (Pacific, EMEA, Americas, CN) 각 대륙별 파트너 팀이 참가하는 정규 시즌 리그 각 리그별 10개 팀 (총 40개)
3단계 마스터스 (Masters) 각 리그 성적 상위팀들이 모여 경쟁하는 국제 대회 12개 팀 내외 (연도에 따라 상이)
4단계 챔피언스 (Champions) 시즌 최종 월드 챔피언을 결정하는 대회 16개 팀 (각 지역 + 포인트)

각 단계별 역할과 흐름

  1. 챌린저스: 지역 예선전 또는 오픈 참가 기반. 성적 우수 팀은 어센션(Ascension) 대회를 통해 상위 리그 진출 기회 획득.
  2. 인터내셔널 리그: 각 대륙별 리그. 시즌 중 상위권 팀이 마스터스 진출. 연말에는 포인트 누적을 통해 챔피언스 진출권 획득.
  3. 마스터스: 전 세계 상위 리그 팀들의 격돌. 챔피언스 직행 포인트 획득 가능.
  4. 챔피언스: 최종 16개 팀이 월드 파이널에서 경쟁. 우승 팀은 세계 최고의 발로란트 팀으로 등극.

인터내셔널 리그 소개

  • VCT Pacific: 한국, 일본, 동남아 팀 중심
  • VCT Americas: 북미, 라틴아메리카
  • VCT EMEA: 유럽, 중동, 아프리카
  • VCT China: 2024년부터 독립 운영 시작

각 리그는 연간 2개의 스테이지(Stage 1, Stage 2)로 운영되며, 마스터스와 챔피언스 진출권이 스테이지 별로 주어집니다.

발로란트 리그 보는 곳

전 경기 실시간 중계는 아래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챌린저스에서 인터내셔널 리그로 올라가려면?

챌린저스 우승팀은 어센션 대회를 통해 성적에 따라 2년 간 인터내셔널 리그 참가 자격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Q2. 챔피언스에는 몇 팀이 참가하나요?

총 16개 팀이 참가하며, 각 리그 상위팀 + 포인트 상위팀 + 라스트 찬스 퀄리파이어 팀이 포함됩니다.

Q3. VCT 포인트는 어떻게 획득하나요?

Stage 1, 2 성적과 마스터스 성적에 따라 누적 포인트가 쌓이며, 챔피언스 진출 기준이 됩니다.

Q4. 발로란트 e스포츠를 처음 보는 사람도 재밌게 볼 수 있나요?

네. 공식 중계에는 해설자와 전문가들이 실시간 설명을 제공하며, 팀 스토리, 선수 소개 등 콘텐츠도 풍부하게 제공됩니다.

Q5. 선수로 참여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로컬 토너먼트 또는 챌린저스 오픈 예선에 참가하여 성적을 올리고 팀과 계약을 맺는 것이 일반적인 루트입니다. 관련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발로란트 리그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