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분양 후 설사·입질 등 초기 증상 대응법 6가지
강아지 분양 후 설사·입질 등 초기 증상 대응법 6가지
처음 강아지를 분양받고 집으로 데려온 후 며칠간, 예상치 못한 행동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설사를 하거나, 입질이 심하거나, 낯선 환경에 겁을 먹고 숨어버리는 경우도 흔합니다.
많은 보호자분들이 이 시기를 지나며 불안감을 느끼지만, 사실 이는 대부분 정상적인 적응 반응인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그 중 일부가 건강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향후 반려 생활의 질을 좌우하게 됩니다.
1. 설사: 환경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
새로운 환경, 사료의 급격한 변경, 긴장감 등으로 인해 설사는 매우 흔한 초기 증상입니다. 단 1~2일 이내 진정되며,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위장 보호용 간식이나 처방식을 이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2. 입질: 사회화 부족 혹은 불안 표현
생후 3~4개월 이내의 강아지는 입으로 주변을 탐색합니다. 하지만 지나친 입질은 사회화 교육이 부족했거나 불안한 상태일 수 있으므로 짧게 "아야!" 하며 반응하고 물지 않도록 장난감으로 주의를 돌려야 합니다.
3. 식욕 부진: 낯선 사료와 공간 때문
사료를 거부하거나, 입에 넣고 뱉는 경우는 많습니다. 일단은 기존 사료를 급여하며, 익숙한 냄새를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2일 이상 지속되면 수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4. 배변 실수: 훈련 미숙의 자연스러운 과정
패드 훈련은 보통 1~2주 이상 걸립니다. 실수했을 때 혼내기보다는 성공했을 때 크게 칭찬하는 방식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5. 숨기: 소심하거나 겁 많은 성격일 수 있음
강아지가 구석에 숨어서 나오지 않는다면, 억지로 꺼내지 말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기다려 주세요. 조용한 환경, 은은한 조명, 부드러운 말투가 도움이 됩니다.
6. 헛짖음: 새로운 환경에서의 경계 반응
혼자 있을 때 낑낑거리거나 낯선 소리에 짖는 경우는 초기 불안 반응입니다. 익숙한 담요, 라디오 소리 등으로 안정감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Q&A 자주 묻는 질문
- Q1. 설사가 3일 이상 지속되면 어떻게 하나요?
- A. 일반 설사는 1~2일 내 회복됩니다. 3일 이상 지속되면 기생충이나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어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 Q2. 입질을 방치하면 나중에 물 수 있나요?
- A. 네. 초기에 통제하지 않으면 성견이 되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훈육과 놀이 방식으로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 Q3. 식욕이 너무 없고 물만 마셔요.
- A. 24시간 내에 사료를 전혀 먹지 않으면, 단순 스트레스 외에 구강질환이나 소화기 이상 가능성도 있으므로 수의사 진료를 권합니다.
- Q4. 하루에 몇 번 배변 실수는 괜찮은가요?
- A. 2~3개월 강아지는 하루 4~6회 실수해도 정상입니다. 다만 패드 유도는 꾸준히 진행해야 합니다.
- Q5. 처음 오는 날 짖고 밤새 울어요. 괜찮은가요?
- A. 당연한 반응입니다. 단독생활에서 낯선 환경으로 이동해 생기는 긴장 상태이며, 2~3일 내 안정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맺음말: 초기는 위기 아닌 기회입니다
강아지가 처음 집에 왔을 때 나타나는 행동 하나하나가 보호자에게는 위기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성장과 적응의 일환이며, 보호자가 적절히 대응해주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훈련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6가지 증상과 대응법을 기억하고, 필요 시에는 전문가와 함께 대처해 나간다면, 반려견과의 시작이 더욱 건강하고 따뜻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