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민생지원금 맞벌이 소득기준 확인

inctola 2025. 7. 18. 03:39

맞벌이도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민생지원금 소득기준 총정리

민생지원금 맞벌이

물가가 오르면서 체감 소득은 줄고, 정부의 재정지원에 대한 기대는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맞벌이 가구는 일정 소득이 있어도 지출 부담이 크기 때문에 복지 사각지대가 되기 쉬운데요.

2025년에도 정부는 전 국민 민생지원금을 예고했고, 그 핵심 기준은 바로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입니다.
그렇다면 맞벌이 부부도 과연 지원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

맞벌이 가구는 소득을 어떻게 산정하나요?

정부의 민생지원금은 '개인 기준'이 아니라 가구 기준으로 지급 여부가 결정됩니다.
즉, 맞벌이 부부는 부부 합산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를 넘지 않아야 대상이 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월소득표

가구원 수 월 소득 기준 연 소득 환산
2인 가구 3,932,658원 약 47,191,896원
3인 가구 5,025,353원 약 60,304,236원
4인 가구 6,097,773원 약 73,173,276원
5인 가구 7,108,192원 약 85,298,304원

맞벌이도 충분히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위 기준을 보면, 단순히 맞벌이라는 이유만으로 지원에서 제외되지는 않습니다.
소득이 낮거나 한쪽 소득이 적은 경우에는 오히려 단독 소득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3인 가구(부부+자녀 1명)일 경우, 합산 소득이 월 502만 원 이하이면 민생지원금 대상이 됩니다.

지원금 액수는?

  • 1인당 최대 25만 원 지급 (소득 상위 10%는 15만 원)
  • 4인 가구 기준 총 100만 원 (기본형)
  • 지자체별로 최대 10만 원 추가

소득 말고도 확인해야 할 것들

✔️ 건강보험료 납부액: 소득 산정 참고 지표로 사용
✔️ 가구원 수: 세대원 전부 포함 (자녀, 부모 등)
✔️ 지자체 조건: 일부 지역은 선착순 또는 별도 기준 존재

자주 묻는 질문 (Q&A)

Q1. 맞벌이인데 두 사람 소득이 각각 200만 원이면 대상인가요?

네. 합산 400만 원이면 2인 가구 기준(393만 원)에 근접하나, 자녀 포함 시 3인 가구로 판단되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2. 상여금, 금융소득도 포함되나요?

포함됩니다. 세전 총소득 기준이며, 일시소득도 포함됩니다.

Q3. 건강보험료만 보고 판단하나요?

아닙니다. 기본은 소득 기준이며, 건강보험료는 참고용 지표입니다.

Q4. 인구소멸지역이면 더 받을 수 있나요?

네. 인구소멸지역 가구는 1인당 2~5만 원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Q5. 신청은 어디에서 하나요?

정부24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하며, 주민센터 방문도 가능합니다.